BACK TO LIST
PREV NEXT
TRUE HOUSE JEJU
2019
ARCHITECTURE DESIGN / INTERIOR DESIGN
JEJU-DO, KOREA

Design_Book_TRUE_HOUSE_Page_03.jpg
PROJECT TITLE : TRUE HOUSE
LOCATION : JEJU-DO, REPUBLICK OF KOREA
AREA : 5,000 sqm
FORMAT : TOWN HOUSE
YEAR : 2019
SCOPE : ARCHITECTURE / INTERIOR DESIGN

Design_Book_TRUE_HOUSE_Page_04.jpg
Design_Book_TRUE_HOUSE_Page_05.jpg
Design_Book_TRUE_HOUSE_Page_06.jpg
6세대로 구성된 트루하우스는 각각 독립된 건물로 이루어진 단독주택 단지이다. 건물은 3층 규모로 계획되었으며, 1층은 필로티 구조로 설계해 3대의 차량을 실내와 같은 조건에서 주차할 수 있도록 했다. 
주요 생활 공간은 2층과 3층에 배치되어, 외관 또한 이 두 층이 하나의 덩어리로 보이도록 디자인되었다.
남북 방향으로 배치된 메인 창호는 채광과 조망을 극대화하면서도, 제주의 비와 바람이 많은 환경을 고려해 창호 양옆에 금속 루버를 설치했다. 이는 기능적 역할을 넘어 입면을 구성하는 중요한 건축적 요소가 된다.
또한 옥탑으로 연결되는 볼륨 역시 입면의 장식적 요소로 작용해, 개별 주택의 개성을 살리면서 6세대가 모여 단지를 형성할 때 단지 전체의 독창적인 건축적 리듬을 만들어낸다.

True House consists of six independent residences, forming a distinct single-family housing complex. Each building rises three stories, with the ground floor designed as a piloti structure to accommodate three vehicles under conditions similar to indoor parking. The primary living areas are located on the second and third floors, and the exterior composition emphasizes these two levels as a unified architectural mass. Main windows are oriented north–south to maximize natural light and views. Considering Jeju’s frequent rain and strong winds, metal louvers were added on both sides of the openings, serving both functional performance and architectural expression for the façade. The vertical volume leading to the rooftop also acts as a decorative element, enriching the overall composition. When assembled as a cluster of six houses, these features create a distinctive architectural rhythm for the entire complex.
Architecture07.JPG
Architecture06.JPG
Architecture03.JPG
Architecture01(0001).JPG
Architecture04.JPG
Architecture05.JPG
TrueDomusSite04S.jpg
Design_Book_TRUE_HOUSE_Page_14.jpg
Entrance01.jpg
제주도의 바람과 계절을 담은 주거단지 트루도무스의 시작은 현관에서부터 명확하게 드러난다. 1층은 필로티 구조로 설계되어 차량 3대를 수용할 수 있는 주차 공간이 마련되었고, 그 위로는 단정하면서도 여유로운 입구가 자리한다.
현관문을 열고 들어서면 길게 뻗은 복도가 로비처럼 펼쳐진다. 단순한 ‘통로’가 아닌, 공간의 첫인상을 결정짓는 장치다. 벽면에는 긴 수납장이 정돈된 선으로 이어지고, 편의성을 고려해 벤치가 함께 배치되어 있다. 빛을 머금은 커튼과 간접조명이 어우러져 복도는 단순히 지나가는 곳이 아닌, 머무를 수 있는 공간으로 변모한다.
또한 1층에는 넉넉한 워크인 수납공간이 구성되어 생활의 편리함을 담았으며, 손님을 위한 게스트룸도 별도로 마련되어 있다. 더불어 세대 전체를 연결하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입주자의 동선은 한층 편리하고 유연해졌다. 트루도무스의 현관과 1층 로비는 실용적 기능과 미니멀한 미학이 공존하는 지점이다. 공간의 시작부터 주거의 품격을 경험하도록 하는 장치, 그것이 이 프로젝트가 지향하는 ‘디자인의 태도’이다.

The beginning of True Domus, a residential complex that embraces the winds and seasons of Jeju, is clearly revealed at its entrance.
The first floor is designed with a piloti structure, accommodating parking for three vehicles, above which a composed yet generous entry unfolds.
Upon opening the main door, a long corridor stretches out like a lobby. It is not merely a passageway, but an architectural device that defines the first impression of the home. Along the wall, an extended storage unit runs in clean lines, accompanied by a built-in bench for convenience. With soft curtains and ambient lighting, the corridor transforms from a simple transitional space into one where one may pause and dwell.
The first floor also contains a spacious walk-in storage area for everyday practicality, along with a guest room designed for visitors. Furthermore, an elevator connects all levels of the residence, ensuring movement throughout the house is both convenient and fluid.
The entrance and lobby of True Domus embody a balance between functional utility and minimalist aesthetics. From the very threshold, the space allows residents to experience the dignity of living — an attitude toward design that this project consistently aspires to.
Entrance02.JPG
005_Entrance.jpg
006_Entrance.jpg
012_1Froom.jpg
011_1Froom.jpg
001_제주영어교육도시_트루하우스_인테리어_거실.JPG
계단을 오르자마자, 눈앞에 하나의 조각 작품 같은 이탈리아 아라베스카토 대리석 벽이 드러난다. 이 강렬한 첫인상은 공간 전체의 성격을 결정짓는 중심축이 된다. 계단과 엘리베이터를 둘러싼 짧은 복도를 지나면, 남향의 거실이 펼쳐진다. 풍부한 빛을 받아들이는 창은 제주의 계절을 실내로 끌어들이며, 공간을 시간의 흐름과 함께 호흡하게 한다. 대리석 벽 건너편으로는 메인 주방과 다이닝이 이어진다.
2층의 LDK는 하나의 열린 공간이면서도, 대리석 벽을 매개로 적절히 구분된다. 주방과 다이닝, 거실은 각각의 성격을 지니면서 동시에 하나의 흐름을 이루어, 가족과 손님 모두가 자연스럽게 어우러질 수 있는 장을 형성한다. 빛과 재료, 그리고 선형적 구성이 만들어내는 이 통합된 공간은 트루도무스가 추구하는 주거의 핵심을 드러낸다 — 기능을 넘어선 경험, 일상 속에서의 예술적 순간이다.

The moment one ascends the stairs, a striking Italian Arabescato marble wall appears like a sculptural piece, setting the tone for the entire floor.
Beyond the short corridor that surrounds the staircase and elevator, the living room unfolds to the south, embracing abundant natural light. The large windows invite Jeju’s changing seasons indoors, allowing the space to breathe in rhythm with time. Across the marble wall lies the main kitchen and dining area.
The second floor’s LDK is conceived as a unified space, subtly defined by the marble partition. The living room, kitchen, and dining each retain their own character while flowing seamlessly into one another, creating a setting where family and guests can naturally gather and connect.
Through light, material, and linear composition, this integrated space embodies the essence of True Domus — an architecture that transcends pure function to offer moments of artistry within daily life.
017_제주영어교육도시_트루하우스_인테리어_거실.JPG
019_제주영어교육도시_트루하우스_인테리어_거실.JPG
020_제주영어교육도시_트루하우스_인테리어_거실.JPG
018_제주영어교육도시_트루하우스_인테리어_거실.JPG
021_제주영어교육도시_트루하우스_인테리어_주방.JPG
022_제주영어교육도시_트루하우스_인테리어_다이닝.JPG
025_제주영어교육도시_트루하우스_인테리어_화장실.jpg
023_제주영어교육도시_트루하우스_인테리어_침실.jpg
030_제주영어교육도시_트루하우스_인테리어_마스터침실.JPG
3층은 마스터 존과 두 개의 아이방, 공부방, 그리고 가족 주방이 배치되어 있다. 이 중 마스터 존은 남향으로 배치된 침실을 중심으로 구성되며, 드레스룸과 욕실까지의 동선을 효율적으로 연결한다. 침실에서 바로 진입할 수 있는 히든도어를 적용해, 거주자가 보다 편리하게 공간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침실의 한쪽 벽은 에르메스 벽지와 화이트 워시 오크 무늬목으로 마감되어 있다. 이 장식적 요소는 단순한 장식 이상의 의미를 갖고, 공간의 방향성을 제시하며 마스터존 전체의 품격을 높인다.






The third floor accommodates the master zone, two children’s rooms, a study, and a family kitchen. At the heart of this layout, the master zone is organized around a south-facing bedroom, with a circulation plan that seamlessly connects to the walk-in closet and bathroom. A concealed door from the bedroom provides direct access, enhancing both privacy and convenience for the residents.
One wall of the master bedroom is finished with Hermès wallpaper and whitewashed oak veneer. Beyond its decorative appeal, this feature wall establishes a strong spatial orientation and elevates the overall character of the master suite.
032_제주영어교육도시_트루하우스_인테리어_마스터침실.jpg
031_제주영어교육도시_트루하우스_인테리어_마스터침실.jpg
033_제주영어교육도시_트루하우스_인테리어_마스터침실.jpg
034_제주영어교육도시_트루하우스_인테리어_마스터드레스룸.jpg
035_제주영어교육도시_트루하우스_인테리어_마스터드레스룸.jpg
036_제주영어교육도시_트루하우스_인테리어_마스터드레스룸.jpg
039_제주영어교육도시_트루하우스_인테리어_마스터욕실.jpg
040_제주영어교육도시_트루하우스_인테리어_마스터욕실.jpg
041_제주영어교육도시_트루하우스_인테리어_침실.jpg
045_제주영어교육도시_트루하우스_인테리어_침실.jpg
047_제주영어교육도시_트루하우스_인테리어_화장실.jpg
048_제주영어교육도시_트루하우스_인테리어_화장실.jpg
052_제주영어교육도시_트루하우스_인테리어_옥탑.JPG
Design_Book_TRUE_HOUSE_Page_19.jpg
Design_Book_TRUE_HOUSE_Page_23.jpg
Design_Book_TRUE_HOUSE_Page_41.jpg
Design_Book_TRUE_HOUSE_Page_51.jpg
Design_Book_TRUE_HOUSE_Page_13.jpg